[004] (퍼블릭) 클라우드 코어 (5대) 서비스
모두 가상의 자원이기 때문에 CPU도 vCPU, RAM도 vRAM ...
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여러가지를 설정하는 데 인스턴스나 이미지 등을 생성할 때 꼭 생성되는 요소 5가지를 5대 서비스라고 생각하고 진행한다.
<클라우드 5대 서비스>
1. Compute Service
- CPU
- RAM
2. Storage Service
- SSD
- HDD
<3대 스토리지/스토어>
- Block Storage/Store : 볼륨, C 드라이브, USB
- File Storage/Store (공유폴더) : NFS, NAS
- Object Storage/Store : 인터넷 스토리지, 웹하드 -> 인터넷으로 저장하고 받아오는 것들
3. Network Service
- vNIC(virtual NIC)
- vS/W(virtual Switch)
4. Image Service
- OS
- Snapshot
5. Identity(Security)
- RBAC(접근제어)
- SG(Securitiy Group) : 방화벽
=> 5가지를 조합하여 "가상서버(VM)", "인스턴스", "VM 인스턴스" 생성
Azure는 "가상서버"라고 부르고,
AWS는 "인스턴스"라 부르고,
구글(GCP)은 "WV인스턴스"라고 부름. 다 똑같은 말
<이외의 추가 옵션>
6. Database Service
- Mysql
- MsSQL
- Oracle
7. DNS Service
등등
<AWS 기준 실습할 때 필요한 서비스명>
1. Compute Service(vCPU, vRAM)
- EC2 : Elastic Compute Cloud
2. Storage Service
- EBS : Elastic Block Store
- EFS : Elastic File System
- S3 : Simple Storage Service -> Object Storage/Store를 위한 서비스
3. Network Service
- VPC : Virtual Private Cloud
DB를 접근제한하기 위해 사설 ip만 통신되도록 하여("격리"되도록 하여) private cloud를 관리하는 것
4. Image Service
- AMI : Amazon Machine Image
설치된 이미지(.iso)를 복사해와서 내가 만든 block storage의 AMI에 있는 os를 가지고와서 사용하는 것
5. Identity Service
- IAM : Identity Access Management
- Firewall
6. Database Service
- RDS : Relational Database Service
7. DNS Service
- Route 53